Category: 00b * In Korean

  • 2024년 1월 6일: 웹사이트 유지보수

    2024년 1월 6일: 웹사이트 유지보수

    워드프레스 테마를 변경했다. 메일침프를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에 대한 고민 중인 뉴스레터를 비롯해서, ‘임시로 사용’하려고 만들었지만 그렇다기에는 너무 긴 시간이 지나 버린 (가장 오래된 포스팅은 2018년 9월에 게시한 것이다.) 이 웹사이트, jaeyongpark.net/updates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려고 했던 건 아닌데, 지금은 트레바리 모임을 위한 발제 포스팅만 모아두는 아카이브처럼 보이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2024년에 해야…

  • 궁극의 취향! [패션의 시대]

    궁극의 취향! [패션의 시대]

    패션이란 절대적인 미감 같은 걸 찾는 영역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유동적으로 형성되는 합의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이런 모습을 패셔너블하게 여기는 게 세상에서 통용되는 이상 별문제 없다. 박세진, [패션의 시대] 61쪽 [패션의 시대]가 아니라 [시대의 패션]이라는 제목을 붙였으면 어떨까 하는 책입니다. (물론, 그렇게 했다면 책의 판매고를 보장할 수 없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른바 “의식주” 가운데 첫 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 미술아냥, [현대미술의 결정적 순간들]

    트레바리 책읽기 모임 “미술아냥”의 스무 번째 시즌 세 번째 책, 그러니까 우리 모임의 79번째 책은 [현대미술의 결정적 순간들]입니다. 홍익대학교에서 20년째 강의를 해오면서, 서양미술을 가르칠 때 적절한 텍스트북이 없어서 늘 고민이었어요. 유명한 원서를 번역한 책들은 있었지만, 언어가 번역된다는 것은 독자에게 간접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기에 내용이 왜곡되고 결여되거든요. 아무리 좋은 번역이라도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이차적인 겉도는 지식을 전달할 수밖에 없었어요. 이즘*의 클라이맥스였던 20세기의 주요 작가와 전시를 균형적으로 다루는 책을 찾기가 어려웠죠. 결국 국어로 강의하기 위해 이 책을 직접 만들게 되었어요. 학생들이 알았으면 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연결해서, 사건으로서의 전시, 사건으로서의 미술사를 담아냈어요. – 홍익대학교 신문 웹사이트의 인터뷰에서 인용 (2019년 9월 27일 게재) (재용의 노트) 먼저 제 짧은 감상을 공유하자면, 일종의 ‘프레임’을 제시하는 책을 읽을 때 더 큰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우리는 “무엇?”이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를테면 와…

  • 궁극의 취향! [윤광준의 생활명품 101]

    궁극의 취향! [윤광준의 생활명품 101]

    명품, 名品명사뛰어난 물건이나 작품.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이것이 ‘명품’의 정의입니다. 물론 오늘날 통용되는 ‘명품’의 의미는 조금 다릅니다. 사치품이라 할 수 있는 ‘luxury goods’의 번역어로 쓰이기도 하니까요. [윤광준의 생활명품]은 ‘명품’에 대해 명쾌한 정의를 내리지는 않습니다. 다만, 100여개 물건에 대해 짤막한 소개를 나열함으로써 그것이 무엇인지 (혹은 그것을 선택한 이가 어떤 사람인지) 넌지시 드러내는 것 같습니다. (한편 ‘생활명품’이라는…

  • 미술아냥, [내 곁에 미술]

    미술아냥, [내 곁에 미술]

    책의 저자를 직접 모시고 진행해보는 모임. 저자 분에게 각자의 목소리로 감상을 공유하면서…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그 전에, 송고은 & 박재용의 짧은 노트부터: (고은) 지난 시간 “예술의 발명”을 통해 삶과 구별된 예술, 현대미술에 대해 이야기 했다면 오늘은 좀 더 다른 시각에 대해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곁에 미술’을 가장 충족하게 즐기고 있는…

  • 미술아냥, [예술의 발명]

    첫 번째 책부터 꽤나 묵직한 주제를 다룬 두꺼운 책이라 많이들 놀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우선 두 번째 책은 좀 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점을 리마인드하며, 첫 모임의 발제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박재용의 노트) 현대 미술, 동시대 미술, 초현대 미술 얼마 전 참여했던 한 아티스트 토크에서 이런 질문이 나왔습니다. “주변화된 신체, 퀴어와 같은 존재들이 끊임없이 컨템포러리 아트의…

  • [세습 중산층 사회] – 궁극의 취향!

    [세습 중산층 사회] – 궁극의 취향!

    우리는 모두가 너무나 개별적이고 독특한 개인인 것 같지만 (‘넌/난 특별해!’ 라는 외침은 비록 공허할지언정 이 시대의 목소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종종 통계 등을 살펴보면 모든 인간은 사회경제정치 변화의 흐름을 벗어날 수 없는, 심지어 무력한(?) 존재는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잊을만 하면 등장하는 ‘세대론’ 등을 듣고 있자면, 이처럼 다양한 사람들을 어떻게 한…

  • 궁극의 취향! [나는 누구인가?] 뉴필로소퍼 제17호

    궁극의 취향! [나는 누구인가?] 뉴필로소퍼 제17호

    2023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과연 누군가요? 우리는 무엇으로 스스로를 정체화(identify)하고 있나요? (주로 언론이나 정치권에서는) MZ, 이대남, 586 등등… 온갖 손쉬운 명칭으로 사람들을 분류하려고 합니다. 잠시 [그런 세대는 없다](신진욱 저, 서울: 개마고원, 2022)를 소개하는 서평 기사의 일부를 빌어와 봅니다. 저자의 주장은 “불평등 시대에 세대는 더 계급 계층으로 갈라지고 있으며 그만큼 더 동질적인 집단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것이다.…

  • [미술아냥] 아트인컬처, 퍼블릭아트 2023년 7월호

    [미술아냥] 아트인컬처, 퍼블릭아트 2023년 7월호

    잡지(雜誌) 또는 매거진(magazine)은 여러 가지 내용의 글을 모아서 펴내는 정기 간행물이다. 책처럼 매었으며 발행 간격에 따라 주간·월간·계간의 구별이 있다. 신문과 책의 중간적 성격을 띤다. – 잡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간 미술>이나 <아트인컬처>, <퍼블릭 아트> 같은 미술 잡지가 누군가에겐 <월간 산>이나 <월간 바둑>, <월간 낚시>처럼 보이진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미술 잡지의 존재 이유는…

  • 궁극의 취향!, [지금의 균형]

    궁극의 취향!, [지금의 균형]

    일단, 여러분의 독서 노트부터 읽고 시작합니다. 책의 초반부를 읽었을 때 들은 생각은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라는 말을 여러 가지 말로 돌려쓰는구나’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책을 구매한 당일 완독을 할 수 있었던 책을 중간에 접어두고 오늘에야 다시 펴게 되었다.책을 끝까지 읽고 나의 책에 대한 생각이 크게 달라졌다. 내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책이었다. – OㅈO “나에게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