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00b * In Korean

  • 2021 Year in Review (이메일 초안)

    2021 Year in Review (이메일 초안)

    내용은: 제목과 동일한 2021 Year in Review – 이메일 초안. 안녕하세요? 마스크 없는 연말을 보낼 수 있을지 내심 기대했던 2021년을 마무리하는 연말 결산 이메일입니다. 아직 올해는 끝나지 않았지만, 매년 ‘애뉴얼 리포트’를 해보아야지 생각만 하다가 매년 보내지 못했던 터라, 올해는 ‘완벽하지 않더라도 발송하기’를 목표로 작성해봅니다. if “올해 우리는 ~를 함께 했습니다.” then: 함께 작업을 하면서 좋았던 점, 개선의 여지가 있는 점을 알려주실 수 있다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서 피드백해주신 걸 그냥 받기만 할 수는 없으니, 피드백 주시면 약소한 스타벅스 커피 쿠폰으로나마 보답도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가 함께 한 일(들)은 제가 올 한 해 동안 아래와 같인 진행한 일 가운데 하나를 (혹은 여럿을) 차지하는 것이었습니다. 번역, 통역, 글쓰기를 비롯한 창작, 연결하기 순으로 정리해 소개합니다. if “올해 저희는 ‘일’을 함께하지는 않았습니다.” then: 하지만 한 해가 저물어가는 지금, 제 삶의 상태를 공유하는 형태로 안부를 전하고자 메일을 드려봅니다. 그럼, 올 한 해 동안 제가 한 일, 그리고 개인적으로 있었던 ‘일’들을 공유해보겠습니다! 먼저, 번역. 2021년 1월부터 12월 25일까지, 총 103건의 번역 과업을 수행했습니다.  (메일을 작성 중인 12월 27일 현재 진행중인 것까지 더하면, 2021년의 번역 과업은 총 107개 입니다.) 텍스트의 길이와 종류는 아주 다양했습니다. 가장 짧은 것은 수소 에너지 행사를 알리는 티저 동영상에 들어갈 세 줄 영문 카피를 ‘transcreation’하는 일이었고, 가장 긴 것은… 우열을 가리기 힘듭니다. 한 권의 책을 모두 번역하거나, 몇 십 분 길이의 연사강연 열 편 가량에 모두 자막을 다는 일도 있었지요. 이렇게 올 한 해 진행한 100여 건 가운데 ‘미술’과 관련된 작업은 70여 건이며, 한 권의 책이라 할 수 있는 도록으로 출간된 것은 15 건 가량 됩니다. 생각보다 많지 않네요…! 미술 외에는 영화, 패션 및 뷰티, 자동차 제조사의 문서 등을 번역했습니다. 소설집을 한 권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고요. 장편 영화 자막과 시나리오 작업도 두 차례 진행했습니다. 영화는 아니지만, 미술 작품으로 만들어진 영상의 자막도 여러 편 작업했고요. 더불어, 국립현대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파운드리 갤러리, PKM 갤러리, 광주비엔날레, 잡지 <W> 등 한 해 동안 여러 건의 번역 작업을 함께 한 기관들도 있었습니다. 한편, 올 한 해 동안 번역한 영어 단어 수와 한글 글자수는 얼마나 될까요? 이 부분은 따로 기록을 해두지 않아서 아쉽습니다. 내년 이맘 때는 공유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다음으로는 통역. 올 한 해 동안 37건의 통역을 수행했습니다.  파트너를 이루어 동시통역을 하기도 하고, 순차통역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거의 대부분은 미술과 관련한 통역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영화(제) 관련 통역이 많았습니다. 주로 아티스트 토크나 관련 학자분들의 강연에서 언어를 옮기는 일이었지요.  미술이나 영화 외에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에서 개최한 “현실과 가상, 인간과 기계” 학술대회 발제나 공주에서 열린 “세계 유교 포럼” 기조 발제를 통역한 일도 있습니다. 내년에는 통역에서도 좀 더 다양한 종류의 언어를 옮겨보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21년은 글쓰기도 열심히 해보려 노력한 한 해였습니다.  먼저, 국내외 잡지나 전시 도록 등에 총 10편의 글을 썼습니다.  한 편한 편 소중한 글이지만, 한글로 쓴 것과 영어로 쓴 것 중 링크를 공유할 수 있고 제게 중요한 글 두 편만 공유해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영국의 잡지 <frieze>에 기고한 서울시립미술관 <이불: 시작> 전시 리뷰입니다. “Lee Bul’s Beginning: A Lesser-Known Story about Korean Contemporary Art” https://www.frieze.com/article/lee-bul-beginning-2021-review 그리고 한국 잡지 <아트인컬처>에 한 발 빠르게 기고한 NFT에 대한 일종의 explainer 글입니다. …

  • 궁극의 취향!, [트렌드 코리아 2022]

    궁극의 취향!, [트렌드 코리아 2022]

    포스팅 커버 이미지는 [트렌드 코리아 2021]에서 꼽은 키워드. 출처는 https://www.i-boss.co.kr/ab-qletter-475765. 위 동영상은 [트렌드 코리아 2022]가 아닌 [친절한 트렌드 뒷담화 2022]에 대한 30분 길이의 토크입니다. “트렌드”를 키워드로 한 책이 참 많습니다. [2022 트렌드 노트] [라이프 트렌드 2022] [부동산 트렌드 2022] [2022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2022 대한민국이 열광할 시니어 트렌드]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2022] [유튜브 트렌드 2022]…

  • 미술아냥, [나는 미술관에서 투자를 배웠다]

    미술아냥, [나는 미술관에서 투자를 배웠다]

    미술관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 걸까요? 이번 모임에서 함께 읽은 책의 저자, 이지혜 님은 투자를 배웠다고 합니다! 한편, 서동진님의 두 글부터 한 번 읽어봅시다. “미술관은 금융시장인가?” http://homopop.org/log/?p=1649 “자본의 전당, 미술의 전당” http://homopop.org/log/?p=296 그리고 이것도. 미술의 ‘암호 화폐’ 열풍 (박재용, [아트인컬처] 2021년 5월호) http://www.artinculture.kr/online/3302 시간이 되신다면, 아래 동영상 강연도 한 번 봅시다. Hannah Wohl의 강연입니다. Wohl의 저서,…

  • 궁극의 취향!, [중국집: 피아노 조율사의 중식 노포 탐방기](2018, CA BOOKS)

    궁극의 취향!, [중국집: 피아노 조율사의 중식 노포 탐방기](2018, CA BOOKS)

    * 커버 이미지는 한겨레 기사, “‘고독한 미식가’ 이전에 전국 누빈 ‘혼밥 조율사’가 있었다”https://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987421.html 취향의 근원은? 이번 책에 여러 사람의 노트에서도 언급된 바, 취향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하고 싶은 마음이나 욕구 따위가 기우는 방향”. 한자 뜻풀이는 또 이렇습니다. 趣: 달릴 취, 달릴 추, 재촉할 촉, 벼슬이름 추, 뜻 취, 向: 향할 향, 성 상, 성씨…

  • 미술아냥, [벌거벗은 미술관]

    진짜가 나타났다! 본문을 시작하기 전에, 잠깐 참고자료: 도슨트가 전성시대를 맞을 때 불확실하게 흘러가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빠르고 간편히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를 원한다. 꽤 믿을 만한 사람이 기승전결을 겸비한 이야기꾼이라면, 사람들은 그의 말을 귀 기울여 듣는다. 팟캐스트와 베스트 셀러의 이름인 ‘지대넓얕’에서 시작해 tvN <알쓸신잡>으로 이어진 열풍, JTBC <차이나는 클라스>나 tvN <요즘책방: 책 읽어드립니다> 같은 프로그램이 얻는 지지를 보라. 이제 미술 전시 현장에서도…

  • 미술아냥, [아이웨이웨이: 육성으로 듣는 그의 삶, 예술, 세계]

    미술아냥, [아이웨이웨이: 육성으로 듣는 그의 삶, 예술, 세계]

    ‘DJ 스푸키’의 다큐멘터리 <Ordos 100> 리믹스. 거대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중국의 과도한 부동산 개발-투기로 인해 양산된 유령 도시를 이야기할 때 언급되는 대표적 사례이기도 합니다. (참고: “The ghost town Ai Weiwei built” on The Architectural Review https://www.architectural-review.com/essays/the-ghost-town-ai-weiwei-built. 최근 큰 뉴스였던 중국 헝다 그룹 부도 사태는 이미 2000년대 부터 예비된 것이었을지 모르겠습니다.) 첫 번째…

  • 미술아냥, [사물의 뒷모습] (안규철. 현대문학, 2021)

    고은의 노트 “내가 쓰고 있는 말은 어떤 상태인가. 그 말들은 아직 유효한가, 아니면 유효기간이 이미 지난 것을 나만 모르고 있는가. 서늘한 기운이 목덜미를 쓱 훑고 지나가는 가을 아침이다.” (139) 이 대목을 읽으며 이 책의 말들 중에 가장 솔직한 ‘작가의 말’이 아닌가 생각했다. 무언가를 이루었다고 보이는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기 급급했던 시절 ‘자부심’으로 범벅된 지난 말들을 돌이켜보며…

  • 궁극의 취향!, [가족 난민]

    궁극의 취향!, [가족 난민]

    궁극의 취향, 네 권의 책과 함께 마무리하는 한 시즌 첫 책: [아메토라: 일본은 어떻게 아메리칸 스타일을 구원했는가] (발제 포스팅) 두 번째: [돈가스의 탄생] (발제 포스팅) 세 번째: [공간이 만든 공간] (발제 포스팅) 마지막: [가족 난민] 함께 생각할 거리 한 시즌 동안 내게 꾸준히 떠오른 문제의식은? 주거 형태, 가족 및 동반자 관계 등에 대한 생애주기 계획은?…

  • 2021년 8월 12일, 작가와 연구자를 위한 통역

    할 수 있는 한, 매번 통역을 할 때마다 공개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짧게라도 기록을 남기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마음을 먹고서 처음 남겨보는 기록은 2021년의 20-27번째 통역. (통역 횟수를 세는 기준을 ‘계산서 발급’으로 할 지, 통역 대상이 된 주체의 수로 할 지 고민 끝에 후자를 기준 삼기로 했음.) 클라이언트: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MMCA 창동) 과업: 입주작가 및…

  • 미술아냥, [사진의 이해]

    미술아냥, [사진의 이해]

    위 동영상: Aperture Foundation에서 열린 Understanding a Photograph 출간 기념 강연 Understanding “a” Photograph 책의 영어 제목에 쓰인 “사진”이 “사진 일반”을 뜻하는 “Photography”가 아닌 개별적인 한 장의 사진, 즉 “a” photograph임에 유의하며, 2021년 5~9월의 미술 책읽기 모임을 마무리하는 [사진의 이해] 모임에 임했으면 합니다. 송고은의 노트: 가상현실에 맞서는 사진 “이 작품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사회적 권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