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KO

  • 궁극의 취향! [나는 누구인가?] 뉴필로소퍼 제17호

    궁극의 취향! [나는 누구인가?] 뉴필로소퍼 제17호

    2023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과연 누군가요? 우리는 무엇으로 스스로를 정체화(identify)하고 있나요? (주로 언론이나 정치권에서는) MZ, 이대남, 586 등등… 온갖 손쉬운 명칭으로 사람들을 분류하려고 합니다. 잠시 [그런 세대는 없다](신진욱 저, 서울: 개마고원, 2022)를 소개하는 서평 기사의 일부를 빌어와 봅니다. 저자의 주장은 “불평등 시대에 세대는 더 계급 계층으로 갈라지고 있으며 그만큼 더 동질적인 집단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것이다.…

  • [미술아냥] 아트인컬처, 퍼블릭아트 2023년 7월호

    [미술아냥] 아트인컬처, 퍼블릭아트 2023년 7월호

    잡지(雜誌) 또는 매거진(magazine)은 여러 가지 내용의 글을 모아서 펴내는 정기 간행물이다. 책처럼 매었으며 발행 간격에 따라 주간·월간·계간의 구별이 있다. 신문과 책의 중간적 성격을 띤다. – 잡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간 미술>이나 <아트인컬처>, <퍼블릭 아트> 같은 미술 잡지가 누군가에겐 <월간 산>이나 <월간 바둑>, <월간 낚시>처럼 보이진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미술 잡지의 존재 이유는…

  • 미술아냥, [프리다 칼로, 붓으로 전하는 위로]

    미술아냥, [프리다 칼로, 붓으로 전하는 위로]

    (고은의 노트) 그림을 통해 위로를 받아 보신 적이 있나요? 저는 위로를 ‘작정’한 예술을 믿지 않지만 예술가가 지녔을 솔직한 감정을 표현한 작업에는 언제나 좋은 감상을 갖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를 두고 ‘confessional art’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가장 잘 알려진 작가로는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가 있죠. 그리고 최근 한국에서 개인전을 가진 키키 스미스(Kiki Smith)나 하이디 부허(Heidi Bucher)도 이에 속할…

  • 궁극의 취향!, [음식 중독]

    궁극의 취향!, [음식 중독]

    오늘의 책, [음식 중독]의 원제는 많은 점을 시사합니다: Hooked: Food, Free Will, and How the Food Giants Exploit Our Addictions. 거칠게 옮겨보자면 책의 부제는 이렇습니다. “음식, 자유 의지, 그리고 거대 식품 기업이 우리의 중독을 악용하는 방식.” 우리는 당연히 음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이고, 자유 의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이며, 마케팅을 통한 우리의 습관 혹은 취향…

  • 미술아냥, [세스 프라이스 개O끼] (2023년 6월)

    미술아냥, [세스 프라이스 개O끼] (2023년 6월)

    지난 40년 동안 읽은 예술과 문화를 다룬 책 중 가장 훌륭하고, 재미있고, 예리하다. 뉴욕에 도착하는 ‘공동의 기도문’ 같은 책. 뉴욕에 도착하는 버스, 비행기, 기차에서 이 책 없이 내리지 말 것. – 아마존닷컴의 독자 코멘트 4개월 동안 4권의 책을 함께 읽을 책 읽기 모임 [미술아냥] 19번째 ‘시즌’의 첫 책은 [세스 프라이스 개O끼(F*ck Seth Price)](이계성 역. 2021,…

  • 미술아냥, [현대 미술의 이단자들]

    미술아냥, [현대 미술의 이단자들]

    현대 미술의 이단자들 (아트 부산 현장으로부터의 노트) “내가 존경할 수 있는 예술가들은 이미 세상을 떠났다.” 라고 저의 모더니스트(a.k.a. 꼰대) 친구가 말했습니다. 호크니를 제외하고 이 책에 언급된 많은 예술가들은 이미 이 세상에 없습니다. 루시안 프로이트, 프란시스 베이컨 그리고 데이비드 호크니 모두 이 시대를 대표하는 페인터들이라고 단언하기에는 여전히 현대를 살아온, 또 살아가고 있는 여성, 유색인종의 뛰어난 예술가들…

  • 페레스 프로젝트, 삼청동에 문을 열다

    페레스 프로젝트, 삼청동에 문을 열다

    이제 건물은 1-2층의 갤러리와 3-4층의 사무 공간으로 쓰인다. 3-4층의 회의실과 프라이빗 뷰잉룸에선 오랜 시간 미대사관저로 쓰였던 “송현동 부지”가 시원하게 트인 모습을 내려 볼 수 있다.

  • 99betaHUD(기예림, 한지형)의 [GNOME]

    99betaHUD(기예림, 한지형)의 [GNOME]

    * 방문 후 3시간이 지나기 전, 무엇이든 남겨보고자 만든 “3시간이 지나기 전에” 카테고리에 속한 글. 방문일시: 2023년 4월 23일 일요일 오후 4시 51분 – 5시 40분장소: 서울 마포구 방울내로 59 3층 “얼터사이드”작성 소요 시간: 45분 한지형과 기예림. 두 작가가 소통하는 방식은 사람이 아닌 존재를 연상케 하는 측면이 있다(고 한다). 전시에서 만나는 gnome(놈)은 아이러니한 존재다. 케임브리지…

  • 궁극의 취향! [디컨슈머]

    궁극의 취향! [디컨슈머]

    커버 이미지 by Bàrbara Castro Urío. 우주의 작동 방식, 엔트로피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우주의 무질서도(엔트로피)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방향으로만 움직인다고 합니다. 무질서가 쌓이고 쌓여서 그 끝에 다르면…? 우주는 ‘열죽음’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모든 것이 소립자로 분해되고, 흐릿한 흔적만이 남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의 모든 소비 행위 역시 이 엔트로피 증가에 일조하는 건 아닐까요? 혹은, 늘어나는 엔트로피를 되돌릴…

  • 미술아냥,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두 번째)

    미술아냥,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두 번째)

    “우리시대의 미술을 사람들이 즐기고, 이해하고, 사용하는 일을 도와주는 것”(156)이 MoMA의 초대 관장 알프레드 바가 말한 현대미술관의 목적이다. 한가로운 미술관을 찾아 전시를 보고, 1층 까페에서 커피를 마시고, 아트숍을 둘러보는 것 처럼 ‘문명인’으로 주말을 즐길기기에 더 적당한 일도 없을 것이다. 높은 층고와 건습이 조절된 공기, 적당한 웅성거림은 미술관이 세상에 그 어떤 곳 보다도 평화로운 곳이라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