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발제문
-
안과 밖 읽기 모임을 위한 노트
위키백과의 The Commonwealth of Oceana 페이지 영문 링크 안과 밖 48권 “재조명” 코너에 실린 페이퍼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공화주의: 제임스 해링턴의 『오시아나 공화국』 다시 읽기”의 저자 윤석민은 James Harrington의 The Commonwealth of Oceana(1656)을 브렉시트의 기원을 바라보는 틀로 삼고자 함. 흥미로운 부분(들): “최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기정사실화된 이후에도 스코틀랜드 에 여전히 남아있는 영국의 결정에 대한 거부감과 유럽에 대한 친연성은 연합 왕국 내 소속 국가들 사이의 이질적인 반응이 좀 더 깊고 오래된 역사적 맥락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유추하게한다.”(205) “세습군주제 를 유지시킬 적자의 계승이 끊긴 튜더 왕조의 종결에서 기인한, 일종 의 역사적 우연(historical contingency)의결과라고 할 수 있는 스튜어 트 왕조 시대의 개막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사이의 불안하고 항시적 긴장이 동반된 연합 관계 때문에 늘 그 의미와 성격을 되묻지 않을 수 없는 역사적 운명을 영국인들에게 강요한 셈이었다. ‘동등하게 중요한’ 연합이라는 이상은 스코틀랜드인들에는 그들의 수도에 부재하는 그러나 여전히 그들을 다스리는 군주(absentee monarch)의 모호함 처럼,잉글랜드인들에게는 갑작스럽게 그들의 국왕이 돼 자신들을 통 치하는 외국인 군주(foreign ruler)의 낯섦 처럼, 개념적으로 항상 불안 정한것이 아닐 수 없었다.”(206) 207페이지에서는 (모든?) 논문이 그러하듯 기존 literature에 대한 코멘트를 하는데, 윤석민이 주목하는 것은 The Commonwealth of Oceana의 수용사(reception history). 말하자면 세습군주제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뤘으나, 이것은 “공화주의 자체에 내재한 이데올로기적 딜레마를 가리는 기제”(208)이라는 – 심지어 “대중적 독법(popular reading)”(209)이라는 주장 + 브렉시트 논쟁의 역사적 기원을 독해(윤석민의 바람)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입장. “해링턴의 『오시아나』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바로 이러한 배타적 공화주의라는 이데올로기적 프리즘에 굴절된 채 통용돼왔다고 보아도 무방하다.”(211) 해링턴은 영국빠(?) 였다. 아래 내용을 보면, “중요한 것은 이처럼 스코틀랜드가 봉건주의를 극복해내는 추동력이 스코틀랜드 사회 내부로부터가 아니 라 외부로부터, 다시말해 인접 국가인 잉글랜드로부터 말미암아야 한 다는 해링턴의 인식이다. 이는 1650년대의 해링턴에게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가 이미 극복해낸 과거, 즉 어떤 후진성(backwardness)의 총 체로서 이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13) 저자의 생각은 이러함. “근대 이후 영국인들, 더 나아가 대서양 양안의 서구인들에게 제법 익숙한 것으로 공유되어 온 배타적 공화주의의 맹점은 단순히그것이 공화주의에 대한 비좁은 환원론적 이해에 기초하고 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화주의라는 이념 자체에 내재한 모순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는 데 놓여 있다. 다시 말해 공화주의 이데올로기가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온 ‘자유’(liberty)라는 이상의 허구성을 직시하지 못하게 하는 기제가 이미 공화주의가 수용되고 전유되는 과정에서 생산 및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는 주장이 이로써 설득력을 얻는다.” (218) 이어서, “17세기 잉글랜드의 공화주의 에 내재한 딜레마는 공화주의 사상 자체에 가로놓인 딜레마라고 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그것은사실상 ‘자유국가’의 이상이 직면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 한계에서 말미암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산출하는 유토피아적딜레마이기 때문이다.”(221) 또한, “공화주의가 일반 국민 에 의한 통치(popular government)로 축소되어 이해될 때,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이상은 현실세계와괴리를 빚을 공산이 크다.”(222) 브렉시트 투표의 경우, 영국 의회는 유럽연합 잔류를 희망했으나 국민투표에서 유럽연합 탈퇴 결과가 도출됨. 이것은 “캐머런(David Cameron) 당시 영국 총리와 그를 뒤이은 메이 (Theresa May) 총리가 잇따라 영국정부는 국민 의사를 따르겠다고 공표한 것은 이러한 헌정적 위기를 황급히 수습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소선거구제를 기반으로 한 대의제를 통해서만 반영되고 포착 가능했 던 국민주권이 의회주권에 비해 우위에 있음을 정부 수반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순간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223) 또한 “이는 틀림없이 국민주권의 승리를 의미할지 모르나 여러 측면에서 퍽 융통성이 있었던 근대 이전 공화주의 원리가 아닌 배타적 공화주의적 이상의 구현이라는 점은 지적될 필요가 있다.”(223) 그래서 결론은? 배타적 공화주의의 독본으로 여겨져 온 The Commonwealth of Oceana를 그렇게만 읽지 않는다면, 현재 브렉시트를 둘러싼 ‘연합국’으로서의 영국 내에서 각기 다른 지방이 보이는 온도차를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심지어 1656년에 쓰여진 책 안에서살펴볼 수 있다. Takeaway? 공화주의 자체에 내재한 모순에 대해 인지하는 것. 이를 바탕으로, ‘민의를 직접적으로 대변한다’는 것을 내세워 인기를 높이는 인물들의 전략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것.
-
취향있냥, [자기만의 방]
커버의 이미지는 1929년도에 출간된 [자기만의 방] 초판본입니다. 현재 유통가는 약 4,000 미국 달러. “이것은 바라건대 당신에게 연 500파운드의 수입이 있어야 탐구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2010년대 말을 기준으로, 연 500파운드는 약 41,000미국 달러입니다. 한화로 환산하면 대략 4,500만원에서 5,000만원 가량 되는 돈이에요. 세후 수령금액이라고 생각하면, 한국에서의 연봉 기준으로는 약 연 6,000만원 가량 되는 돈입니다(!). TMI를 뒤로하고, 생각할…
-
미술아냥, [다른 방식으로 보기]
미술아냥 2020년 9월~12월 시즌 첫 책, [다른 방식으로 보기]. 원전은 [Ways of Seeing](Penguin Books, 1972), 한글판인 열화당본은 2012년 1쇄 출간. 존 버거(John Berger, 1926~2017)는 영국의 비평가, 소설가, 화가. 위키백과 (국문 링크) 버거의 다른 저서, [본다는 것의 의미(About Looking)] 역시 한글로 번역되어 출간되었음. (2020년, 동문선에서 개정판을 출간. (국문 링크)
-
취향있냥, [생애최초주택구입표류기] & 디렉터리 매거진, “취향의 자립”
2020년 8월 취향있냥 모임을 위한 발제 포스팅.
-
미술아냥, 다시 [해석에 반대한다]
2020년 8월 미술아냥 모임을 위한 발제 포스팅.
-
미술아냥, [나의 사랑 백남준]
송고은, 박재용의 발제 노트를 읽고, 곧장 시작합니다! 몇 해전인가 해외 비평가가 나에게 묻길, 한국 사람들은 백남준을 ‘한국인’으로 생각하느냐?라고 했다. 그때는 당연하게도 또 별 망설임없이 ‘그렇다’고 대답했는데, 이후에는 종종 그 질문에 대한 전혀 다른 생각들이 맴돈다. 그는 인류사에서 가장 빠르고 어지럽게 흘러간 시간의 대부분을 살아냈다. 그점이 백남준을 ‘백남준’으로 만든다. 1932년에 태어난 백남준, 한국전쟁이 시작되기 전인 그의…
-
취향있냥, [생각을 빼앗긴 세계]
트레바리 모임 [취향있냥] 2020년 7월 2일 모임. 오늘의 책은 [생각을 빼앗긴 세계]. 2020년 5월~8월 시즌의 세 번째 책!
-
미술아냥 / [줄리언 반즈의 아주 사적인 미술 산책]
* 커버 이미지는 이 책의 영문판 표지입니다. 원제는 “Keeping an Eye Open: Essays on Art” 입니다. 직역하면 “눈을 활짝 뜨고 보기: 미술 에세이 모음”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해요. 송고은 1. 실패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실패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멈출 수 없는 일 중에 하나가 바로 번역과 해석이 아닐까? 실패를 예언하면서도 이를 놓지 못하는 건 누구나…
-
취향있냥 – [스시 이코노미]
커버 이미지는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orwegia_Roll_Salmon_Sushi.jpg 이쯤되면, 제목을 [튜나 이코노미]로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이 책을 읽으며 드는 생각입니다.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명확합니다. “스시는 20세기 후반에 돈, 권력, 사람 그리고 시대의 상호 연결성을 규정짓는 문화의 흐름에 따라 발명된 요리이다.”(9) 책에 따르면, 스시는 (혹은 참치는) 이런 과정을 거쳐 ‘세계인의 음식’이 되었습니다. 1950년대 원거리 항해용 선박 개발 1956년 ‘표준화된’ 컨테이너…
-
취향있냥 – [로컬숍 연구 잡지 브로드컬리]
2020년 1월~4월 취향있냥 모임의 마지막 발제 포스팅. [브로드컬리] 매거진을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