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긴 달리기를 위해 숨을 고르는 구간이라곤 하지만, 움직임을 멈출 수는 없다. 암중모색.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이 글은 쓰는 것 또한 그 일부다. 아침 시간,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며 휴대전화로 작성 중이다.)
![](https://i0.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4/03/img_8224-1.jpg?resize=914%2C1600&ssl=1)
한편 새삼 놀라운 건, 대체 어떻게 그렇게 매일 달렸는가?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된다는 점이다. 심지어 폭우와 폭설을 기다리며 그 속에서 달리길 기다렸다니.
이런 생각이 드는 이유는, 달리기 혹은 적극적 몸쓰기가 없는 지금도 하루가 충분히 버겁기 때문이다. 일, 육아, 그리고 쏟아지는 장보로(*오타 수정: ‘장보’가 아니라 ‘정보’) 인해 매일이 쉽지만은 않다.
![](https://i0.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4/03/img_8222-1.jpg?resize=814%2C1524&ssl=1)
물론, 결론은 정해져있는지도 모른다. 명상과 달리기를 통해 그런 버거움을 덜어냈던 거라고. (여기서 육아라는 변수는 논외로 하자.)
![](https://i0.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4/03/img_8223-1.jpg?resize=860%2C1600&ssl=1)
그래서, 2024년 3월 4일 귀가 중엔 어정쩡한 시간을 쓰며 갈아탈 버스를 기다리는 대신, 근처에 있는 따릉이를 집어타고 ‘허벅지 안쪽에 힘을 주고’ 천천히 페달을 밟았다.
![](https://i0.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4/03/img_8225-1.jpg?resize=914%2C1600&ss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