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문 후 3시간이 지나기 전, 무엇이든 남겨보고자 만든 “3시간이 지나기 전에” 카테고리에 속한 글.
방문일시: 2020년 4월 27일 오후 11시 53분 – 12시 21분
장소: 성북로 320번지 “WESS”
작성 소요 시간: 약 90분
WESS에 대해
2014년부터 종종 지인들에게 제안했던 것을 2016년 4월에 블로그에 “컨소시엄”이라는 제목으로 짧게 기록해서 남긴 적이 있다. (👉🏻링크) 대략적 내용은 이렇다. 여러 주체가 하나로 모여 운영비를 공유하고, “1/n으로 나눈 기간 동안 만큼을 나눠 운영”해보는 건 어떨까? 하는. 주로 세 글자, 네 글자의 이름을 걸고 있던 공간을 운영 중이던 동료들에게 가볍게, 때로는 사뭇 진지하게 제안해보았지만, 실제로 이뤄지진 않았다.
2019년 12월에 문을 연 WESS는, 오래 전 몇몇 동료에게 제안하다 이뤄지지 않았던 바로 그 아이디어가 실현된 곳이다! 👏🏻🎉
WESS의 인스타그램 프로필은 공간을 이렇게 소개한다. “Co-operating Platform w/ 11 Curators in Seoul”. 열한 명의 큐레이터가 함께 운영하는 플랫폼.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바로 앞, 벽돌 건물 2층에 자리한 이곳은 문을 열고서 약 6개월 동안 짧은 소개 문구가 지향하는 바에 맞는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열 한 명이 함께 운영하는 곳이니, 공간을 위한 프로그램은 아마 올해 말까지 꽉 차있을 것이다.)
Petrichor
유신애 작가는 작년 이맘 때, 체코 프라하의 Center for Contemporary Art Futura에서 동일한 제목으로 짧은 전시를 진행한 바 있다. 오디오 머신으로 개조한 자동차의 대시보드처럼 생긴 스크린 구조물에 프로젝터로 영상을 쏘는 형태로 설치가 이뤄졌다.
![](https://i0.wp.com/futuraprague.com/uploads/151/b9b09d1c62279f4a1b6814397899a208.jpg)
WESS에서는 프라하 전시 공간을 시뮬레이션하듯, 대시보드 구조물 마저 상영되는 영상의 일부로 통합해 보여준다.
![](https://i0.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0/04/IMG_20200427_121545-scaled.jpg?fit=660%2C495&ssl=1)
상영회를 조직한 (WESS의 멤버인) 송고은 큐레이터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소개한 내용은 이렇다.
“2019년 부터 유신애가 진행해 온 프로젝트 <페트리코어>는 마른 땅이 비에 젖으며 풍기는 독특한 냄새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작가는 발티모어_Baltimore에서 만난 시인, 작곡가, 프로듀서 등 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이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영상 속 사운드는 남성성 과잉_hyper masculinized의 문화를 상징하는 자동차 개조, 스포츠하듯 경쟁을 조장하는 대중문화와 극적인 대비를 이룹니다. <페트리코어>에 등장하는 인물들은마치 “대지의 추방자들_wretched of the earth”이 한 순간 미지의 세계로 건너가 새로운 차원을 만들어낸 것 같은 환영을 불러일으킵니다.”
– https://www.instagram.com/p/B_SGqRdJxI5/
메모
4월 27일(월)부터 29일(수)까지 진행되는 이 상영회는 30분 단위로 예약을 한 뒤 관람할 수 있다.
신청 링크 👉🏻 구글 양식
상영회가 이뤄지는 공간 입구에는 작업에 대한 송고은 큐레이터의 짧은 글 “Requiem in the Air 레퀴엠 인 디 에어” 인쇄물과 엽서가 있고, 넓은 벽면에 상영이 이뤄지는 한편 측면에 두 점의 작은 이미지가 걸려 있다. 의도한 바인지 모르겠으나, 12시와 12시 30분 사이의 시간 동안 약 10분 길이의 영상을 두 번에 걸쳐 관람하였다.
![](https://i0.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0/04/IMG_20200427_121545.jpg?resize=1600%2C1200&ssl=1)
“자기 통제의 환상”
극단적 자동차 튜닝 문화는 어디에서 온 걸까? 일견 무척 미국적인 현상인 것 같지만, 2016년 광주에서 “시간의 빗장이 어긋나다” 전시 프로듀서로 일했을 때 참여 작가 조 나미가 진행한 <오토모빌>을 위해 광주 지역의 튜닝 애호가들을 불러모았을 때, 관련 커뮤니티가 꽤 크게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어 놀란 적이 있다.
“더 큰 사운드로 들었으면 좋겠다”
상영 장소인 WESS에서, 작업은 바닥에 놓은 대형 프로젝터와 벽면 바닥에 둔 두 개의 스피커를 활용해 상영했다. 현실 세계의 튜닝 자동차들이 그러한 것처럼, 몸을 진동케 하는 베이스와 강력한 사운드로 작업을 보여주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 상영 직후 물어보니, 낮 시간에는 건물 내 다른 세입자들의 사정을 감안하여 엄청나게 큰 소리를 낼 수는 없다고 한다. 👉🏻 여기서 다시 한 번 추억 소환. 2014년 봄, 일민미술관에서 기획해서 열었던 전시 <토탈리콜> 오프닝을 위해 미술관 3층에서 홍철기 작가가 마음껏 사운드-퍼포먼스를 했을 때 벌어진 일: 미술관 1층 레스토랑의 매니저 분이 3층으로 급히 올라오셨다. 이유는 – 1층 레스토랑의 벽과 바닥에 진동이 느껴진다며, 영업을 위해 오프닝 퍼포먼스의 음향을 조절해줄 수 없는지 급히 문의하기 위해.
“Small Wonders”
이 말은 왜 메모를 했을까. 아마, 뒤이어 남긴 “유일하게 자기 자신일 수 있는 것이 자동차 안”이라는 메모와 관련된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자동차 튜닝 문화의 원동력에 대해, 자동차라는 소우주가 사람들에게 의미하는 바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야 할 부분이다. 자기 명의의 자동차를 소유하게 된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한다. 혼자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장소가 (면적으로 따지면 그리 넓지 않은) 자동차 운전석이라고. 극단적으로 자동차를 튜닝해 거대한 베이스-우퍼 머신으로 개조하는 사람들은 자신을 향한 자동차라는 소우주를 확장해 외부로 발산하려는 걸까? 소형차인 마티즈 뒷좌석과 트렁크 전부를 강력한 베이스음을 낼 수 있는 우퍼를 싣는 공간으로 개조한 (2016년 프로듀싱했던 전시에 참여한) 차량이 생각난다. 운전자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문이 찌끄러질 정도로 강력한 음향을 (스스로) 듣기 위해 자동차를 이렇게 뒤바꿨다고.
“지휘자”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지휘봉을 든 사람이 있다. 갓처럼 생긴 모자를 쓴 이 지휘자는 누굴까? 등장 인물들의 의상은 작가가 만든 걸까?
![](https://i2.wp.com/www.jaeyongpark.net/updates/wp-content/uploads/2020/04/IMG_20200427_120619-scaled.jpg?fit=660%2C495&ssl=1)
“피울 수 없는 담배”
영상에는, ‘피울 수 없는 담배’도 등장한다. 입을 대고 연기를 빨아들여할 쪽도 타들어가고 있고, 그 반대쪽 역시 타들어가고 있는 담배다.
“Paper Planes”
영상을 보면서 어렴풋이 M.I.A.의 “Paper Planes” 뮤직비디오를 떠올렸다. 작업의 내용 때문이라기보다, M.I.A의 뮤직비디오에도 꽤 인상적인 모습으로 여러 자동차가 등장하기 때문인 듯.
“선택과 통제의 환상”
상영회를 돌아보며, 다시 한 번 ‘선택과 통제의 환상’에 대해 생각해본다. 이것 역시 2015-2016년부터 생각해오던 문제다.
뜬구름 잡는 것 같은 이 메모의 내용이 무슨 말인가 싶거든, 4월 27일(월)부터 29일(수)까지 진행되는 상영회 관람 예약을 해보자. 30분 단위로 예약한 뒤 관람할 수 있다.
신청 링크 👉🏻 구글 양식
👇🏻 “종종 업데이트” Personal 뉴스레터는 아래 링크에서
https://www.jaeyongpark.net/updates/newsletter